빵 입니다.

스토리북(Storybook) 본문

프론트엔드

스토리북(Storybook)

bread-gee 2023. 10. 19. 15:33

UI 컴포넌트 개발을 위해 스토리북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채용 공고에서도 유경험자를 자격요건으로 걸기에 나도 학습해 보았다.

(아래의 내용은 여러 경로를 통해 학습하고, 이해하게 된 내용)

 

스토리북이란?

스토리북은 UI 컴포넌트 가이드북이다.

          • UI 컴포넌트의 디자인을 한눈에 볼 수 있다.
            ex) Primary 버튼, Secondary 버튼 등 버튼의 스타일 확인 가능
          • UI 컴포넌트의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ex) 버튼 컴포넌트의 다양한 상태(활성, 비활성, 클릭 상태 등) 확인 가능

          • UI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액션을 실행해 볼 수 있다.
            === 컴포넌트의 상태나 프로퍼티 변경에 따른 시각적 변화를 쉽게 관찰 가능

          • UI 컴포넌트를 테스트하고, 디버깅할 수 있다.
            === 컴포넌트의 동작 확인, 디버깅 가능

          • UI 컴포넌트를 문서화할 수 있다.
            === 컴포넌트의 사용법, 프로퍼티, 이벤트, 상태 전이 등의 레퍼런스 문서화 가능

 

 

그동안은 가이드 화면을 따로 구축했었는데

앞으론 스토리북을 이용하면 디자이너, 개발자도 쉽게 UI 컴포넌트를 확인할 수 있겠다.

그동안 만들었던 가이드 화면


스토리북 설치

설치 명령어

npx sb init
더보기

npx는 Node.js 패키지 실행기로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로컬 또는 원격 저장소에 있는 Node.js 패키지를 실행할 수 있다.

npx는 주로 프로젝트 종속성이나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사용된다.

더보기

최신 버전의 Storybook에서는 @storybook/cli 대신 npx sb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새로운 방식은 "Zero-config"(무설정) 스토리북을 도입하며, 설정과 환경 구성을 자동화하고 개발자가 더 쉽게 스토리북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

npx sb 명령어를 실행하면 스토리북을 시작하고 필요한 종속성을 자동으로 설치한다.

 

실행 명령어

npm run storybook

실행하면 6006 포트로 화면이 띄워진 것을 볼 수 있다.


폴더 구조

최초 설치하면, 설정 파일들을 모아놓은 .storybook 폴더와 스토리 파일들을 모아놓은 stories 폴더가 생성된다.

 

📂 .storybook

  • main.js
    ➡️ 스토리북의 주요 구성 파일로, 프로젝트 설정과 스토리북 환경을 정의하는 데 사용
  • preview.js
    ➡️ 스토리북의 미리 보기 설정 파일로, 스토리북 UI 테마 기타 환경 설정을 정의하는 데 사용
  • 기타 사용자 지정 파일 및 설정 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 stories

  • Configure.dx
    ➡️ Storybook 소개에 대한 내용과 사용 방법에 대한 내용이 나와있다.

  • 스토리.jsx (리액트)
    ➡️ UI 컴포넌트 내용 추가

  • 스토리.stories.js
    ➡️ 스토리 화면 정의, 스토리 속성 정의 등 스토리의 전반적인 선언 추가

사용 방법

npx sb init으로 설치를 했을 때, 샘플로 들어있는 파일과 스토리북 공식 사이트에서 튜토리얼로 제공되는 내용이 미묘하게 달랐다.

프레임워크 사용 여부의 차이 같다.

어떤 환경에서 작업할지 모르니 둘 다 분석해 보았다.

 

npx sb init 설치

// Button.jsx
// Button 컴포넌트 생성
export const Button = ({ primary, backgroundColor, size, label, ...props }) => {
	return (
		<button>...</button>
	);
};

// Button 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 속성(prop) 값 타입 선언
Button.propTypes = {
	primary: PropTypes.bool,
	backgroundColor: PropTypes.string,
	size: PropTypes.oneOf(['small', 'medium', 'large']),
	label: PropTypes.string.isRequired,
	onClick: PropTypes.func,
};

// Button 컴포넌트 속성(prop)의 기본 값 선언
Button.defaultProps = {
	backgroundColor: null,
	primary: false,
	size: 'medium',
	onClick: undefined,
};



// Button.stories.js
// 스토리 설정 값 선언
export default {
	title: 'Example/Button', // 사이드바 참조 값
	component: Button, // 사용 컴포넌트
	parameters: { // 스토리가 스토리북 화면 영역에서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정의
		layout: 'centered', // 버튼 컴포넌트를 화면 중앙에 배치하도록 설정
	},
	tags: ['autodocs'], // 컴포넌트 사용법 요약 Doc 생성 여부 설정
	argTypes: { // 속성(prop)을 편집하고 조작하는 방법을 정의
		backgroundColor: { control: 'color' }, // 색상 선택기 컨트롤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
	},
};

// 스토리 정의
export const Primary = {
	args: {
		primary: true,
		label: 'Button',
	},
};

export const Warning = {
	args: {
		primary: true,
		label: 'Delete now',
		backgroundColor: 'red',
	},
};

 

스토리북 공식 사이트 튜토리얼

// Button.jsx
// Button 컴포넌트 생성
export const Button = ({ primary, backgroundColor, size, label, ...props }) => {
	return (
		<button>...</button>
	);
};



// Button.stories.js
// 스토리 설정 값 선언
export default {
	component: Button,
	title: 'Example/Button',
	tags: ['autodocs'],
};

// 템플릿 함수 정의
const Template = (args) => <Button {...args} />;

export const Default = Template.bind({});
Default.args = {
    primary: true,
    label: 'Button1',
};

// 스토리에 템플릿 함수 연결한 후, 스토리 정의
export const Warning = Template.bind({});
Warning.args = {
    primary: true,
    label: 'Delete now',
    backgroundColor: 'red',
};

두 소스의 다른 점은

propTypes 이용해 속성(prop) 타입 선언 여부와 defaultProps 이용해 속성(prop) 기본 값을 선언 여부도 있지만

Template 함수를 만드느냐 안 만드느냐의 차이가 크다.

첫번째 방법만 보았을 땐, 대상 컴포넌트가 없는데 스토리가 적용되는 게 잘 이해 가지 않았다.

그래서 열심히 찾아보니...

 

첫 번째 방법은 스토리 파일에서 컴포넌트와 스토리를 같은 파일에 정의하는 방식으로

args 객체를 사용하여 초기 속성을 정의하고, 스토리 내에서 컴포넌트를 직접 렌더링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법은 Template 함수를 정의하고, 이 함수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스토리에 연결(bind) 하는 방식으로

템플릿 함수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고, args 속성을 설정하여 컴포넌트에 초기 속성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방법은 CSF (Component Story Format) 기반으로, 스토리북 (Storybook)의 스토리를 정의하는 표준 형식 또는 스펙이다.

컴포넌트와 스토리를 같은 파일에 정의해 주면 스토리북이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Zero-config) 스토리북에서 알아서 렌더링 해준다.

더보기

[CSF 특징]

  • 같은 파일에 스토리 정의
  • 내보내기와 모듈 시스템 활용
  • export를 통한 스토리 정의
  • 자동 문서화(Autodocs) 지원

이제 내 프로젝트에 지정해 볼까! 하!

'프론트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ag(Entity Tag)와 Last-Modified  (0) 2024.12.19
Multirepo VS Monorepo  (0) 2024.02.26
Monolithic Frontend VS MicroService Frontend  (0) 2024.02.2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