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irebase id 자동
- 인터넷 거버넌스
- vuedraggable
- 참조형 default
- reflow
- last-modified
- 참조형 props의 default
- vue composable 함수
- vue3 drag and drop
- usefetch
- 화살표 함수 중괄호
- repaint
- cloud firestore id auto increment
- 화살표 함수 {}
- component is already mounted please use $fetch instead.
- d3 지도 타입스크립트
- ecmascript modules(esm)
- commonjs와 ecmascript modules(esm)
- vue 컴포저블 함수
- $fetch
- d3 지도 툴팁
- git
- ToDo
- nuxt universal rendering
- 다자 이해관계자 모델
- 함수형 프로그래밍
- Learning React
- d3 지도
- d3 지도 확대/축소
- vue draggable 차트 안나옴
- Today
- Total
목록Daily Diary (4)
빵 입니다.
워커홀릭 히키코모리가 되려고 했는데 주변에 좋은 사람들이 아주 많다 오늘을 기억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1. 사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jira를 사내 앱에서 사용하는 것이 목표 - jira를 먼저 사용해본다. - jira에서 제공하는 api 확인 - jira에서 내가 필요한 데이터를 어떻게 요청하고, 받아오는지 network 탭 확인 2. 이슈 문제 발견 => 처리 방법 확인 => 처리 or 처리 예정일 +++ 확인 가능 시점 3. 데이터 객체 검사할 땐, length 못 쓴다. 배열 검사할 땐, length 쓴다. {}, [] 비어있는지 비어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부모요소에서 null 체크, undefined 체크 / 자식요소에서 length>0나 비어있음 체크 개발계와 Stg에 들어오는 데이터는 다를 수 있다. 개발계는 내가 UI 작업하니까 거의 모든 데이터가 다 들어있다. Stg는 없는 데이터가 예기치..
1485793976 api를 요청했는데, 글 생성 시간이 숫자 나열로 반환되었다. 타임스탬프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생성되고 변환시킬 수 있는지 감도 안 잡혔다. 그래서 구글링을 했다. 타임스탬프는 특정한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열로 여러 종류의 예를 알 수 있었다. Tue 01-01-2009 6:00 2005-10-30 T 10:45 UTC 2007-11-09 T 11:20 UTC Sat Jul 23 02:16:57 2005 1256953732 (유닉스 시간) (1969-07-21 T 02:56 UTC) – 07:38, 11 December 2012 (UTC) 그중 눈에 띄는 1256953732 ! 내가 반환받은 값은 유닉스 시간 바탕의 타임스탬프였다. 그래서 유닉스 시간을 검색해보았다. htt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