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cmascript modules(esm)
- reflow
- git
- vue3 drag and drop
- ToDo
- 인터넷 거버넌스
- img 태그 srcset
- vuedraggable
- vue 컴포저블 함수
- component is already mounted please use $fetch instead.
- nuxt universal rendering
- d3 지도
- cloud firestore id auto increment
- vue composable 함수
- pm2 업데이트 에러
- commonjs와 ecmascript modules(esm)
- 웹 퍼포먼스 도구
- pm2 버전 충돌
- 함수형 프로그래밍
- d3 지도 툴팁
- d3 지도 타입스크립트
- 이미지 성능 최적화
- Learning React
- firebase id 자동
- $fetch
- img 태그 sizes
- in-memory pm2 is out-of-date
- vue draggable 차트 안나옴
- repaint
- d3 지도 확대/축소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5)
빵 입니다.
📌 useState() state 관리 도구 단순 상태 업데이트, 복합적이지 않은 상태, 연결되지 않는 상태 간단한 컴포넌트나 단일 상태 변수를 다루기에 적합하다. 개별적인 상태를 다루기에 적합하고, 각 상태 변수는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단순한 상태 업데이트와 컴포넌트 간 연결이 적은 경우에 유용하다. 📌 useReducer() state 가공 최신 state 스냅샷, 복잡한 로직 주로 복잡한 상태 로직이나 여러 상태 간의 관계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복잡한 상태 업데이트 로직을 포함하거나 여러 상태를 동시에 업데이트할 때 적합하다. 연관된 상태 조각들로 구성된 상태 관련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사용한다. ex) 폼 인풋 state state 하나를 변경하는 여러 액션이 있는 경우(데이터 상태에 따라 분..
🔥함수형 컴포넌트 기반으로 정리를 했습니다! 상태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Hook useState와 비슷하지만 좀 더 복잡한 상태 로직을 다룰 때 유용하다. 주로 여러 상태 값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나, 상태 전이 로직이 복잡한 경우에 활용된다. // 기본형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State); reducer 함수는 현재 상태와 액션(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가진 객체)을 받아서 새로운 상태를 반환한다. dispatch 함수에 상태 변경을 위한 액션을 전달하면 자동으로 reducer에 액션을 전달하고 실행한다. // 사용 예제 => 카운터 함수 import React, { useReducer } from 'r..
🔥함수형 컴포넌트 기반으로 정리를 했습니다! Side effects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Hook Side effects는 주로 데이터 가져오기, 구독 설정, 수동으로 DOM 조작 등과 같은 작업을 말한다. useEffect는 컴포넌트 렌더링 후에 실행되는데, 이는 렌더링 결과가 화면에 이미 반영된 후에 Side effects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실행되며, 컴포넌트 생명 주기 관련된 여러 시점에서 Side effects 를 실행할 수 있다. useEffect(() => { // Side effects를 수행하는 코드 // 데이터 가져오기, 구독 설정, 수동으로 DOM 조작 등 // clean-up 함수 (선택적) return () => { // c..
🔥함수형 컴포넌트 기반으로 정리를 했습니다! ref는 다른 DOM 요소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리액트 16.3 버전 이상에서는 함수 컴포넌트에서 useRef 훅을 사용하여 ref를 생성할 수 있다. 리액트가 JSX 코드를 렌더링 할 때, ref 객체에는 실제 DOM 요소나 컴포넌트의 인스턴스가 저장된다. 저장된 값은 항상 객체이고, current 속성을 가지고 있다. current 속성은 ref가 연결된 실제 값을 갖는다. 어떤 HTML 요소에도 추가할 수 있는데, 입력 필드 내용을 가져오기 위해 주로 input에 많이 사용한다. import React, { useRef, useEffect } from 'react'; const MyComponent = () => { const myInput..
DOM 트리의 특정 위치에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기 위한 API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든 컴포넌트는 동일한 부모 컴포넌트 내에서 렌더링되는데, 특정 UI 요소를 다른 DOM 요소의 위치로 렌더링해야 하는 경우엔 ReactDOM.createPortal을 사용한다. (특히 모달, 툴팁, 드롭다운 메뉴 등의 UI 요소를 더 상위 수준의 DOM 노드에 렌더링하려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Portal은 React 컴포넌트 트리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다른 DOM 위치로 React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react-dom에서 제공하는 createPortal을 이용해 만든다. createPortal 함수는 첫 번째 매개변수로 렌더링할 React 요소와 두 번째 매개변수로 해당 요소를 삽입할 DOM..
📌 인라인 스타일 /* 일반 속성 */ /* 하이픈(-)으로 연결된 속성 */ /* 조건에 따른 스타일 적용 */ const [isValid, setIsValid] = useState(false); 📌 클래스 const [isValid, setIsValid] = useState(false); 📌 CSS 모듈 방식 사용 CSS를 사용할 때 로컬 스코프에 해당하는 독립적인 모듈로 만들어 사용하는 방식 스타일을 컴포넌트와 분리하여 관리할 때 주로 사용한다. 각 컴포넌트에 대해 별도의 CSS 모듈 파일을 만들고, 해당 모듈 파일 내에서 정의된 클래스 이름은 해당 컴포넌트에만 적용된다. 각 컴포넌트는 독립적인 스타일을 가지며, 클래스 이름 충돌을 방지하면서도 컴포넌트 스코프 내에서 스타일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
📌 react react는 라이브러리다. react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react는 react 컴포넌트 클래스 및 함수, JSX 지원, 가상 DOM (Virtual DOM), 라이프사이클 메서드, 상태 관리 등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import React from 'react'; 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 컴포넌트 로직 및 렌더링 메서드 } 📌 react-dom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앱을 개발할 때 사용되는 React의 확장 react-dom은 react로 만들어진 로직들과 기능들을 실제 브라우저에 렌더링해준다. (즉, react는 가상 DOM을 사용하여 메모리에 렌더링된 컴포넌트 트리를 관리하고, 이를 실제 DOM에 반..
📌 삼항연산자 사용하여 조건부 렌더링 조건 ? 참일 경우 실행할 내용 : 거짓일 경우 실행할 내용; { // 조건 itemList.length === 0 ? ( // 참일 경우 실행할 내용 목록이 없습니다. ) : ( // 거짓일 경우 실행할 내용 itemList.map((item) => ( )) ) } 📌 AND 연산자(&&) 사용하여 조건부 렌더링 두 조건 모두 참인 경우 참 조건을 만족할 때만 내용을 보여 주고, 만족하지 않을 때 아무것도 랜더링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한다. { itemList.length === 0 && ( 목록이 없습니다. ) } { itemList.length > 0 && itemList.map((item) => ( )) } 조건이 참(Truthy)일 때, 오른쪽의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