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uxt universal rendering
- d3 지도 확대/축소
- repaint
- git
- ecmascript modules(esm)
- vuedraggable
- 함수형 프로그래밍
- d3 지도 툴팁
- component is already mounted please use $fetch instead.
- 웹 퍼포먼스 도구
- img 태그 sizes
- 인터넷 거버넌스
- vue composable 함수
- reflow
- ToDo
- Learning React
- vue 컴포저블 함수
- $fetch
- d3 지도
- commonjs와 ecmascript modules(esm)
- vue draggable 차트 안나옴
- pm2 업데이트 에러
- 이미지 성능 최적화
- pm2 버전 충돌
- vue3 drag and drop
- firebase id 자동
- d3 지도 타입스크립트
- in-memory pm2 is out-of-date
- img 태그 srcset
- cloud firestore id auto increment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5)
빵 입니다.
내가 생각했던 라이브러리 ➡️ 메서드 모음집. 메서드를 가져다 조립해서 사용한다. 정적인 구조. 내가 생각했던 프레임워크 ➡️ 자동화된 시스템. 동적인 구조.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차이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사이의 주요 차이는 제어의 흐름(구조와 동작 방식)이다.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호출하여 사용하는 도구 모음이며,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흐름은 개발자에게 있다.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의 흐름을 제어하며, 개발자는 프레임워크가 정의한 규칙에 따라 코드를 작성한다. React는 라우팅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react-router-dom를 설치해서 사용해야 한다. Next는 내부적으로 React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react-router-dom을 따로 설치하지 않고, 규칙에 따라 파일을 만들면 ..
Next.js 강의 중 라우팅 챕터를 보는데... Next.js에서 태그를 이용해서 을 만들었더니 태그를 이용해서 페이지를 이동하지 말라고 ESLint가 떴다. React에서 태그를 이용해 페이지 이동하지 않는 이유와 같다고 했다. 생각해 보니 정확한 이유를 모르고 있었다. 막연하게 react-router-dom을 이용해서 컴포넌트를 이용해 페이지 이동을 구현했었다. 창피했다. 제대로 쓰기 위해 열심히 찾아보았다. ⭐️ 페이지 전환 시 태그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페이지 전환의 SPA 장점 상실 React로 만들어진 앱은 주로 SPA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브라우저의 페이지 전환없이 동적으로 콘텐츠를 보여준다. 태그를 사용하면 전체 페이지가 새로고침되므로 SPA 장점 사라진다. React Router 기..
Hello World!

UI 컴포넌트 개발을 위해 스토리북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채용 공고에서도 유경험자를 자격요건으로 걸기에 나도 학습해 보았다. (아래의 내용은 여러 경로를 통해 학습하고, 이해하게 된 내용) 스토리북이란? 스토리북은 UI 컴포넌트 가이드북이다. UI 컴포넌트의 디자인을 한눈에 볼 수 있다. ex) Primary 버튼, Secondary 버튼 등 버튼의 스타일 확인 가능 UI 컴포넌트의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ex) 버튼 컴포넌트의 다양한 상태(활성, 비활성, 클릭 상태 등) 확인 가능 UI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액션을 실행해 볼 수 있다. === 컴포넌트의 상태나 프로퍼티 변경에 따른 시각적 변화를 쉽게 관찰 가능 UI 컴포넌트를 테스트하고, 디버깅할 수 있다. === 컴포넌트의 동작 확인, ..

어쩌다 보니 프리를 두 달 뛰게 되었고 이제야 끝이 나서 돌아왔다. 퍼블 프리를 했는데 접근성에 대해 더 깊이 알게 되었고 바닐라 스크립트를 더 본격적으로(?) 사용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접근성을 준수한 컴포넌트 제작을 해보았는데 넘나 재밌는 것. 작은 규모의 플젝이었지만, 전반적인 일정과 프로세스를 총괄하고, 디자인 인력까지 관리해 보는(!) 재밌는 경험이었다. 같이 일한 초급 퍼블리셔를 리딩했는데 누군가를 가르치는 일은 나한테 너무 잘 맞는다. 업무 외적인 일부터 업무의 사소한 스킬까지, 가르치는 데에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남을 가르치려면 우선 내가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기에 가르쳐 주면서 나도 많은 공부를 했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서 프론트엔드를 향해 매진~!
문제 설명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순서대로 적혀져 있다. 바구니는 일렬로 놓여져 있고, 가장 왼쪽 바구니를 1번째 바구니, 그 다음 바구니를 2번째 바구니, ..., 가장 오른쪽 바구니를 N번째 바구니라고 부른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들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순서를 역순으로 바꿀 때, 순서를 역순으로 만들 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에 들어있는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다. 바구니의 순서를 어떻게 바꿀지 주어졌을 때, M번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 다음, 바구니에 적혀있는 번호를 가장 왼쪽 바구니부터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출력 예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
문제 설명 바이러스가 숙주의 몸속에서 1초당 P배씩 증가한다. 처음에 바이러스 K마리가 있었다면 N초 후에는 총 몇 마리의 바이러스로 불어날까? N초 동안 죽는 바이러스는 없다고 가정한다. 제한 사항 1 ≤ K ≤ 108인 정수 1 ≤ P ≤ 108인 정수 1 ≤ N ≤ 106인 정수 입출력 예 [입력] 첫 번째 줄에 처음 바이러스의 수 K, 증가율 P, 총 시간 N(초)이 주어진다. [입력 예시] 2 3 2 [출력] 최종 바이러스 개수를 1000000007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하라. [출력 예시] 18 나의 풀이 const rl = require('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rl.on('li..